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의 수도 워싱턴 DC는 매년 물폭탄으로 몸살을 앓았는데, 이젠 더이상 안 되겠다며, 도시 전체의 체질을 개선하는 대대적인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> <br>빗물이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로도, 지붕도 바꾸고 있습니다.<br><br>세계를 가다, 워싱턴에서 이은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미국 워싱턴DC 지하 차도에 구급 인력들이 구명보트를 타고 인명 구조 활동을 벌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듬해 또 폭우가 쏟아져 시민들이 물에 휩쓸렸고, 카페 등 상업 시설도 침수되는 등 매년 여름 워싱턴DC에선 폭우와 홍수로 인한 물난리가 반복되고 있습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창문 절반까지 빗물이 가득 찼어요." <br><br>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 이변을 막을 수 없는 가운데 워싱턴 시가 고안해 낸 해법은 빗물의 양을 최대한 줄이는 것. <br><br>빗물저장구역과 빗물터널 등이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도록 하는 장치를 도시 안팎에 설치하기 시작했습니다.<br><br>우리 돈 약 1조5000억 원을 들여 도시 자체의 체질을 완전히 개선시키는 대공사인 겁니다. <br> <br>빗물저장구역에는 상습 침수 지역에 물이 잘 빠지는 '투수성 포장 도로'를 깔았습니다. <br><br>투수성 포장도로와 일반 아스팔트 도로가 맞닿아 있는 거리입니다.<br> <br>직접 물을 뿌려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.<br><br>한 쪽은 물이 크게 번지지 않고 금방 마르지만 다른 쪽은 물이 계속 흐르고 잘 마르지도 않습니다.<br><br>또 이 도로는 완만한 V자 형태로 설계돼 건물과 도로에서 흐르는 빗물이 모두 한 곳으로 모인 뒤 배수구로 곧장 이어집니다.<br> <br>[아몬 / 워싱턴 DC 거주] <br>"(홍수 탓에) 마당과 골목, 집 문과 울타리 등이 피해를 봤었어요. 투수성 포장 도로 설치 후에는 물이 잘 빠져서 도움이 됩니다." <br><br>침수가 잦은 길가 곳곳엔 작은 특수 녹지공간을 마련해 지상엔 빗물 유입구와 식물, 지하엔 모래와 자갈, 배수구를 함께 설치해 빗물을 빨아들이도록 했습니다.<br><br>도시 아래쪽을 둘러싼 두 개의 큰 강 인근엔 각각 지름 7m, 길이 수천미터에 달하는 빗물터널을 건설해 범람을 조기에 차단한다는 계획입니다.<br> <br>[칼튼 레이 / 하수 정비사업 감독관] <br>"(빗물터널은) 모든 주민과 시민들에게 이익입니다. 고질적인 홍수 문제를 해결해줄 겁니다." <br> <br>빗물 저감 노력은 민간에서도 나타납니다. <br><br>이 대학 건물 일부엔 이른바 '녹색 지붕'이 설치돼 있는데요, 침수를 대비해 건물 옥상에 작은 풀밭을 마련한 겁니다.<br> <br>캠퍼스 곳곳엔 투수성 포장도로가 깔렸습니다. <br> <br>홍수 폭우 피해를 막기 위한 대응이 도시 전체에서 나타나는 가운데, 워싱턴 시는 2030년 체질 개선 작업이 끝나면 현재 땅에 고이는 빗물을 최대 45%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